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상에 의한 영향과 로컬, 글로벌 근육군에 대한 트레이닝

#반사적억제,(Reflexive inhibition):부상 이후 근육에서 발생하는 #억제작용,

이런 억제작용은 글로벌 가동 근육들보다 로컬(단일 관절) 안정화 근육들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무릎 통증을 유발한 사람들이나, 장시간 서 있어서 슬개골대퇴 통증이 생긴 사람들에게서 대퇴직근보다 내측광근에 근억제와 근위축이 보인다-

어떤 운동법은 근섬유 동원에 변화를 줄 뿐만 아니라, 로컬 안정화시스템에 억제 효과를 일으킨다?

발리스틱 (혹은 플라이오메트릭) 형식의 트레이닝 프로토콜을 6주간 적용시킨 참가자들에게서 의미 있는 점프 높이 향상이 보였다. 그러나 그후로 가자미근의 근력이 감소함을 보였는데 이는 이런 종류의 트레이닝에서는 지역적 안정화 근육들(가자미근)보다 전반적 움직임 근육들(비복근)이 우선적으로 동원됨을 알 수 있다.


1. 움직임 기능부전 상태를 가진 많은 고객들이 안정화근과 주동근 사이에서 지역적 불균형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로컬 및 단일 관절안정화근보다 두 관절, 글로벌 가동 근육을 주로 이용하는 난이도가 높은 플라이오메트릭 운동, 혹은 발리스틱 운동은 이러한 기능부전 상태를 영구화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교정 운동과 움직임 패러다임에서 재활 복귀 초기에 느리고 통제된 움직임을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다.

2. 부상이나 수술 그리고/또는 통증 혹은 관절 종창을 겪어본 환자는 반사적 억제작용과 억제작용의 임상적 증후들(근력 저하, 로컬관절안정화 근욱들의 위축)을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난이도가 높은 플라이오메트릭 운동, 발리스틱 운동은 로컬 근육시스템을 희생해 글로벌 근육시스템의 근육들을 우선 훈련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부전은 더 영구화될 것이다.

3. 고난이도 발리스틱 운동은 엄청난 양의 피로를 발생시키고 대사 노폐물을 축적한다.
피로와 통증은 고객들이 운동 중 스스로 실수를 찾아내는 능력을 떨어뜨리고 이상적인 움직임 패턴을 만드는 과정을 지연시킨다. 또한 이로 인해 기능부전 패턴 촉진을 더욱 가속하는 반면(Law of Facilitation), 이상적인 신경운동 패턴을 만들어내는 것은 더욱 힘들게 한다.

-교정운동 솔루션에서 발췌-